본문 바로가기
산행/전라도

[장성] 입암산(남창주차장-갓바위-입안산성)2024. 11. 3.

by 바람- 2024. 11. 5.

 

 

장성 입암산 641m

 

2024.   11.   3.

 

경주한뫼산악회 333차 2024년 11월 정기산행

 

남창주차장 - 장성새재 갈림길(왼쪽) - 은선동 갈림길(좌측진행) - 입암산(갓바위) -

                 - 입암산성 북문 - 남문 - 장성새재 갈림길 - 남창주차장

입암산(내장산국립공원)_2024-11-03_0910.gpx
0.10MB

 

 

 

 

늦여름에 가뭄과 뜨거운 온도로

나무들은 푸른잎을 떨구어 裸木으로 생존유지 돌입했는데,

가을날에 비 오는 날이 많았던 여름장마 같은 날씨에

잎을 떨구었던 나뭇가지에 새로이 잎이 나더니 아직도 푸르다

그래서인지....

올해는 단풍이 별로일 것이라는 카더라 방송의 톤이 더 크다

10월 29일 산행했던 지리산 도장골의 단풍도

예전에 보았던 단풍 풍광보다 덜한 느낌이었다.

가을단풍으로 손꼽히는 내장산은 유명세에 너무나 혼잡할 것이고....

내장산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입암산으로 정기산행 코스를 잡은

경주한뫼산악회를 따라 나선다.

입암산은

전라북도 정읍시의 입암면 등천리와 전남 장성군 북하면 신성리에

걸쳐있는 해발고도 654m의 산이다.

산 정상에 큰 바위가 있는데 그 생김새가 마치 사람이 갓을 쓰고 있는 듯하다고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세종실록지리지] 정읍에 '입암산 석성은 둘레가 2,920보요,

안에 시냇물이 있는데 겨울이나 여름에도 마르지 아니한다.'라고 하였고

[신증동국여지승람] 정읍에는 '입암산은 현의 남쪽 30리에 있다' 라는 기록이 있다.

[해동지도]에도 입암과 산성이 기재되어 있다.

정상부에 축조되어 있는 입암산성은 이곳이 군사적 요충지였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고려 때 송고비 장군이 몽고의 6차 침입을 맞아 물리쳤고,

임진왜란 때는 윤진(尹軫, 1548~1597)이 소서행장과 싸우다 전사한 곳이라고 한다

입암산과 내장산 사이에 있는 새재는 과거 남도에서 한양으로 향하는

길목이었다고 한다. **** 네이버 지식백과 ****

 

남창주차장에 도착~

남창주차장은 2017년도 2월에 백암산 산행 때 왔었던 기억이다.

남창주차장

 

 

매표소 건물을 지나 도로따라 올라간다.

 

 

남창탐방지원센터

입암산은 가을성수기에는 탐방예약제를 시행하는데, 현장 접수도 된다.

울팀 28명은 현장 접수를 하고 통과한다.

남창탐방지원센터 건물 앞에 몽계폭포 탐방로 들머리가 있다.

백암산을 산행할려면 몽계폭포 방향의 우측으로 진행해야 하고,

입암산은 직진 방향이다.

 

 

남창탐방지원센터 옆의 남창 무장애탐방로 입구를 통과하고~~~

 

 

 

조금 더 진행하여

입암산성 탐방로 들머리도 통과한다.

좌측에 마지막화장실 건물이 있다.

 

 

잘 조성된 탐방로는 산책로 수준이다.

장성새재옛길 갈림길도 지나고~~

 

 

입암산이 내장산국립공원에 속하지만,

내장산과 백암산에 비해 유명세가 약해서인지

오늘 입암산에는 울팀의 독무대인 듯하다

입암산 계곡 하단부에는 이제 가을빛으로 변신하는 것 같다.

 

 

쭉쭉 뻗은 나무의 군락이 나타난다.

편백나무인가 했더니 삼나무이다.

삼나무는 낙우송과 삼나무속으로, 일본고유종이나

중국남부에도 분포한다고 한다.

잎은 5줄의 나선형으로 달리고 끝이 뾰족하다

암수한그루로 꽃은 3월에 피고 수꽃차례는 가지 끝에 이삭꽃처럼 달리고

타원형으로서 길이 10mm이며 황색이고, 포는 4~5개의 꽃밥이 달린다.

암꽃차례는 구형으로 끝에 1개씩 달리고 녹색이며 자녹색 포가 있다.

열매는 구과로 둥글고 적갈색이며 10월에 익는다.

 

 

 

 

손대면 '톡'하고 터질 것만 같은 물봉선화 열매이다.

 

 

 

 

 

계곡을 건너는 첫번째 다리를 만나고~~

 

 

계곡에는 요런 나무들이 군데군데 자라고 있다.

 

 

 

 

 

 

 

 

 

 

 

 

 

두번째 만나는 다리를 다시 건너고~~~

 

 

세번째 만나는 다리에서~~~

 

 

네번째 다리를 건너면 은선동삼거리 갈림길이다

울팀은 좌측으로 올라서 입암산 갓바위를 거쳐 입암산성 안의 계곡을 따라

하산하여 우측으로 하산을 할 것이다.

갈림길이자 합수점이다.

 

 

은선동삼거리 갈림길 안내판 앞에서 좌측으로 올라간다.

 

 

 

 

 

 

 

 

산죽 구간도 지나가고~~

 

 

 

 

 

다시 만나는 삼나무 군락이다.

 

 

천남성 잎

 

 

은꿩의다리는 열매를 달고 있다.

 

숲속이라 빛이 약해 흐리네 ㅠㅠ

 

 

까실쑥부쟁이

 

 

후미를 기다리는 중~~~

 

 

 

 

 

후미를 기다리면서 삼나무 아래의 십자고사리(면마과 나도히초미속)를 담는다

 

 

 

 

 

개도둑놈의갈고리는 3출복엽으로 잎 모양이 둥근 마름모형이고,

큰도둑놈의갈고리는 어긋나는 소엽이 5 ~7개로우상복엽이며 끝이 뾰족하다

이 녀석은 3출복엽이고 장란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도둑놈의갈고리(콩과 도둑놈의갈고리속)이다.

 

 

앙증맞은 빨간열매가 매혹적이다.

가막살나무 열매이거나, 덜꿩나무 열매인데....

잎의 모양과 턱잎 유무로 두 녀석을 구분한다.

가막살 잎은 마름모형의 장란형이고, 덜꿩은 난형이다.

가막살나무는 턱잎이 없고, 덜꿩은 있다.

잎을 떼어 보니 턱잎이 있다 덜꿩나무이다.

덜꿩나무(인동과 산분꽃나무속) 열매이다.

 

 

뻐꾸기가 울 때 꽃이 핀다고 '뻐꾹나리'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꽃의 모양은 꼴뚜기 모양의 꽃인디~~~ㅎ

뻐꾹나리(백합과 뻐꾹나리속) 열매이다.

계속 보게되어 열매를 조금 업어왔다.

 

꽃은 요래 생겼는디~~~ㅎㅎ

 

 

이번 입암산 산행을 하면서 이 녀석을 몇번이나 만났다.

포자엽을 올린 고사리삼(고사리삼과 고사리삼속)이다

고사리삼  https://gyeongyeon.tistory.com/entry/

전초 모습이고

 

영양잎이다

영양잎은 엽병이 길며 3개로 갈라지고 다시 2-3회 깊게 가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신은 길이 5~10cm로서 삼각형 또는 오각형이며

양쪽 밑 깃조각에 긴 엽병이 있다.

잔깃조각은 긴 달걀모양 또는 달걀모양이고 우편 바깥쪽 밑의 잔깃조각이 가장 크며

각 열편은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달걀모양으로서 끝이 둥글고 나비 2-3mm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포자엽이다.

포자엽은 영양잎보다 훨씬 길고 윗부분이 잘게 갈라져서

각 가지에 좁쌀같은 포자낭이 달리고 뿔모양의 원주형으로 길이 5cm 내외이다.

 

 

남창골에서 안부에 올라서면 접속되는 능선은 영산기맥길이라고 한다.

 

 

 

영산기맥과 접속되고 등천리 갈림길이 있는 안부이다

안부에 먼저 도착한 일행들이 쉼을 하고 있다.

 

 

 

안부에 올라서니 쉼의자도 있고

울팀 일행들이 둘레둘레 앉아 식사자리를 펼칠 정도로 넓직하다

점심을 먹기에는 좀 이른 시간이지만 하산종료 시간이 빠르고,

하산 후 식당예약 시간도 빨라 이곳에서 점심식사를 한다.

역시 아니온 듯이 밥상자리를 말끔히 정리하고

출발하면서 안부에 있는 등천리 갈림길 이정표에서

갓바위 방향으로 진행한다.

입암산(갓바위)까지 1.0km 탐방로는 경사도가 가팔라진다.

허벅지의 근육은 쪼맨한 의자에 앉아 식사를 하는 동안 살짝 굳어졌고?

배낭의 무게는 뱃속으로 옮겨졌으니 가팔라진 오름길에서

헉헉거리고~~~ㅎㅎ

 

 

 

 

 

탐방로 좌측에 기암군이 있어 탐색을 하고~~

기암군 아래는 석문이 있다.

 

 

 

에**님이 석문앞에 누워서 요런 기암풍광을 담아준다

 

 

다시 산죽구간을 지나간다.

 

 

광대싸리(대극과 광대싸리속) 열매가 주렁주렁~~~

 

 

갓바위 정상으로 오르는 덱 계단

 

 

덱 계단으로 오르면서~~~

 

 

 

입암산 갓바위 정상석이고~~

입암산 정상은 따로 있다고~~~

 

 

 

갓바위 정상석 옆에 있는 방구에서~~~

 

 

 

갓바위 정상석 아래에 있는 전망대~

 

 

 

 

 

 

맨 오른쪽이 시루봉??

 

 

방장산

 

 

 

 

 

댕댕이덩굴(방기과 댕댕이덩굴속) 열매

 

 

 

 

 

 

 

 

??

 

 

갓바위 정상에서 되돌아 내려가 갈림길 이정표의

입안산성(북문) 방향으로 진행을 할 것이다

내려가면서 ~

 

 

 

이름표를 제대로 달았는지???

좌측은 내장산의 봉우리..... 오른쪽은 백암산 봉우리....

 

망해봉과 연지봉을 줌 인 ~~

 

 

 

 

 

갓바위 정상부에서 계단을 다 내려서면 갈림길 이정표에서

입암산성(북문) 방향으로 진행한다.

 

 

뒤돌아서 바라 본 갓바위 정상

 

 

잠시 편한 능선을 따르다가 급냬림이고,

내려가면 선바위가 나타난다

내려가면서 보면 이렇게 선바위이고

 

 

지나와서 보면 이런 모습이다.

'거북이바위' 라는 안내판이 있다.

 

 

 

 

 

삼거리 갈림길~

만화재 방향으로 조금 더 진행하면 입암산 정상과 만화재 방향의 갈림길이고....

탐방로는 능선의 좌측 사면으로 이어지는데, 만화재 방향이다.

입암산 정상 방향은 직진으로 이어지는데, 출입통제의 금줄이 있다.

 

 

입암산 정상으로 올라서 능선을 따라 남창주차장으로 이어지는데....

오늘은 정기산행이라 입암산 정상을 패스하고, 입암산성 안으로 하산한다.

주차장으로 내려가는 길에서 곳곳의 안내판을 만난다.

 

 

토현삼(현삼과 현삼속) 열매

 

 

 

애기탑꽃???? 두메층층이????

 

 

개도둑놈의갈고리(콩과 도둑놈의갈고리속)

전초에 털이 많고 마름모형의 잎이다.

 

 

고사리삼(고사리삼과 고사리삼속)

 

 

 

 

 

 

 

 

 

 

 

 

 

 

 

 

윤진 순의비 이정표~

임진왜란 때 입암산성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순절한

윤진9158~1597)을 기리는 비석이다

윤진 순의비 옆에는 윤진의 부하 이경국과 이안국을 기리는

정유재란비고 세워져 있다.

 

 

 

 

 

 

 

 

지나 온 길이고~~~

 

진행 할 방향이다.

 

 

 

 

 

 

 

울긋불긋 ~~~~

 

 

 

 

 

뻐꾹나리 열매

 

 

 

 

 

 

 

 

 

 

 

 

 

 

 

입암산성은

전남 장성국 북하면 신성리 산20-2번지 외 57필지

고려. 조선시대의 포곡식(包谷式)산성으로 1993년 11월 10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포곡식 산성은 산의 능선을 따라 쌓은 석성이다.

해발 654m의 입암산 능선을 따라 형성되었으며, 초축 연대는 미상이나,

고려시대 이전부터 존재하엿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포곡식산정이다

입암산성의 평면 형태는 북서-남동이 장축방향인 타원형에 가깝다.

성의 둘레는 성벽 외곽을 기준으로 약 5,200m이고, 총면적은 1,069,255㎡이다

 

 

 

 

 

누리장(마편초과 누리장나무속) 열매가 매혹적이다.

 

 

입암산성 남문~

바위사이로 지나가면

 

 

하산길은 계단으로 이어진다.

 

 

계단을 내려서면 입암산성 남문 안내판이 있고~~~

 

 

남창골 오를 때와는 달리 숲의 색깔이 화려해 진다.

 

 

 

 

 

 

 

 

 

 

 

꿩의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어린 잎

 

은선동 삼거리 갈림길에 다시 접속하고, 아침에 올라왔던 길을 따라

그대로 남창주차장으로 내려간다.

 

 

 

 

 

 

 

 

덜꿩나무 열매

 

잎을 떼어서 턱잎을 확인해 보고~~~

 

 

 

 

 

 

 

 

도둑놈의갈고리(콩과 도둑놈의갈고리속)

3출엽이고 잎 끝이 뾰족하다

 

 

작살나무(마편초과 작살나무속) 열매에 시선이 저절로 향한다.

 

 

 

하산완료 시간이 빠르고, 예약한 식당이 백양사 입구에 있어서

버스를 타고 이동을 하는데 너무나 많은 차들로 도로가 아예 정차 수준이다 ㅠㅠㅠ

주차장에 버스는 주차해 놓고 예약한 식당으로 걸어간다.

주차장에 있는 안내판

 

 

주차장에서 바라 본 백암산 백학봉

 

 

 

 

 

 

장성 입암산(남창주차장-입암산-남창주차장) 2024/11/03 https://gyeongyeon.tistory.com/entry/

장성  백암산(남창주차장-백암산-백양사) 2017/02/12  https://gyeongyeon.tistory.com/e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