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기생꽃 알현하러 태백으로~~
2025. 6. 7.
나홀로....
유일사탐방지원센터 - 사길령갈림길 - 참기생꽃 군락 - 유일사쉼터
- 천제단 방향 조금 갔다오기 - 유일사쉼터 - 임도 - 유일사탐방지원센터
참기생꽃을 만나러 갈려니
이래저래 날짜가 애매하여 계속 미루고 있었다.
아침식사 설거지를 하고나서 텃밭에 갈 준비를 하다가
오늘 가지않으면 올해 참기생꽃을 못 볼 것 같다는 조갑증에
찐감자 오이 토마토 커피를 배낭에 주섬주섬 담아서
티맵에 유일사탐방지원센터를 찍고 출발~
티맵에 무료도로로 안내를 선택했는데,
가다보니 당진영덕고속도로를 경유하여 영양 일월을 거쳐
현동교차로에서 무료도로와 합류하여 태백으로 이어진다.
(가다가 월전삼거리의 sk삼거리 주유소에서 주유)
간다고 미리 생각했다면 05시에 집에서 출발하고....
유일사주차장에서 태백산 정상을 거쳐 당골로 하산하면 딱인데...
당골에서 유일사주차장까지 택시이동하면 되고.....
유일사주차장에 도착하니 11시20분이다.
찐감자 카스타드 빵과 커피로 간단요기를 하고 스타트~~
탐방센터 건물의 시계가 오전 11시37분이다. ㅎㅎ
암술대와 화탁에 털이 없는 얇은잎고광나무(범의귀과 고광나무속)의 향이
먼저 반기는 듯 하다.
노루삼 열매
미나리아재비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참기생꽃을 만날려고 사길령 방향으로 올라간다.
좀딸기(장미과 양지꽃속)
이름에 '딸기'가 붙지만 산딸기속이 아니고, 양지꽃속이다
함박꽃나무 (목련과 목련속)
국수나무(장미과 국수나무속)
개다래 꽃
좀딸기와 콩제비꽃
청시닥나무(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 열매
암수딴그루이고, 꽃차례가 아래로 늘어진다.
벌깨덩굴(꿀풀과 벌깨덩굴속)
화탁이 짙은 노란색이고, 수술대가 사각이 지면 말발도리이고,
화탁이 연한 노랑이고, 수술대가 긴 삼각상이면 물참대이다.
이 녀석은 말발도리(범의귀과 말발도리속)이다.
선괭이눈(범의귀과 괭이눈속)
풀솜대(백합과 솜대속)
줄기를 감싸는 귓볼이 있으니 나래박쥐나물(국화과 박쥐나물속)이다
시닥나무(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는 꽃차례가 선다.
벌써 자방이 부풀었으니 암나무이다.
졸방제비꽃(제비꽃과 제비꽃속)은
빗살 같은 톱니가 있는 턱잎이 있다.
회리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열매
퉁둥굴레(백합과 둥굴레속)
잎 가장자리 전체에 잔톱니가 있으면 복장나무이고,
2~3개의 큰톱니가 있으면 복자기나무이다.
이 녀석은 복장나무(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이다.
나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나도바람꽃속)
삿갓나물(백합과 삿갓나물속)
이름에 나물이 붙지만 독성이 있다.
회리바람꽃과 선괭이눈
너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은
벌써 종자를 다 쏟고 열매껍질이 꽃처럼 활짝 벌어져 있다.
한계령풀(매자나무과 한계령풀속)은 휴면으로~~~
백두대간 길의 사길령 갈림길이다.
천제단 방향으로 진행한다.
태백취?????
줄기잎은 잎자루가 없고 잎 밑부분이 줄기를 감싸는
개시호(산형과 시호속)이다.
뿌리잎은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된다.
뿌리잎과 줄기잎이다.
오리방풀(꿀풀과 산박하속)
한계령풀 열매
큰괭이밥(괭이밥과 괭이밥속) 열매
박새(백합과 여로속)는 꽃줄기를 길게 올렸다.
산앵도나무(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
얼레지(백합과 얼레지속) 열매
와~~~
드디어 참기생꽃을 알현하여 한참을 눈맞춘다.
참기생꽃들과 함께 터전을 하고 있는 두루미꽃(백합과 두루미꽃속)
참기생꽃 https://gyeongyeon.tistory.com/entry/
홍괴불...흰괴불...흰등괴불... 3종의 구분 포인트가 잎맥의 털이라는데...
산행을 하면서 홍자색의 괴불나무를 만나면 자세히 관찰 할 시간이 없다.
2장 정도 사진을 찍다보면 일행들의 모습이 보이지 않아 늘 조급했다.
오늘은 홀산행이라 한참을 딜다본다.
3종의 구분포인트를 책자에서는 정리가 되어있지만 실물을 만나 구분할려니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어 딱 이름 붙히기가 나는 에렵다ㅠ
그래서 오늘도 헷갈린다. ㅠㅠㅠ
잎이 마름모형이고 탁엽이 없는 가막살나무(인동과 산분꽃나무속)이다.
산분꽃나무속이라고 하는데 나는 아직 산분꽃나무를 만나지 못했다.
털개회나무(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피나무(피나무과 피나무속)는 이제 꽃차례를 달았다.
털개회나무
산앵도나무
참기생꽃은 유일사쉼터로 가는 등로에 계속 보인다.
가막살나무
참기생꽃
유일사쉼터에서 커피 한잔으로 잠시 쉬면서 갈등으로....
태백산을 거쳐 당골로 하산을 하고 택시로 유일사주차장으로 오면
경주로 돌아갈 때 밤 운전을 해야 될 것 같고....
밤 운전이 싫어 바로 임도를 따라 하산을 할려니 많이 아쉽고....
장군봉 방향으로 계속 올라가면서 만나는 꽃들과 놀다가
하산 하고픈 자리에서 미련없이 내려오는 걸로 마음 굳히고 장군봉으로 ~~~~
국립공단에서 종자채취를 하기 위해 망사자루를 씌워 놓았다.
보쌈을 당하고 있는 개체는 개별꽃 집안 아인데....
수술대가 삼각상 기둥 모양의 물참대(범의귀과 말발도리속)이다
산앵도나무에 쬐끄만 종이 조롱조롱 달렸다.
장군봉으로 올라가는 돌계단의 오른쪽에 큰앵초들이 한창이다
위쪽에 있는 큰앵초 앞에 흰색 꽃이 바람에 흔들리고 있다.
뭐지?????
다가가니 흰색의 큰앵초이다.
흰큰앵초는 처음 본다.
임도로 바로 내려가지 않고 올라 온 보람이다.
그런데 바람이 많이 불어서 제대로 참하게 담아주지 못해 아쉽다.
올라가면서 큰앵초는 계속 만난다.
2020년도에 이쯤에서 자주솜대를 만났던 기억을 소환하여
열심히 눈빛레이져를 발사를 하니 포착이 된다.
자주솜대(백합과 솜대속)는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4.5-5mm이며
끝의 총상꽃차례는 간혹 1개 정도 가지가 갈라지고
꽃이 달린 부분은 길이 4-4.5㎝로서 돌기가 없다.
포는 길이 1mm정도로서 갈색이며 꽃자루는 길이 3-7mm이고 옆으로 퍼진다.
화피열편은 타원형이며 예두이지만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기도 하고
길이 2mm정도로서 처음에는 황색이지만 자줏빛이 도는 흑색으로 되며 점이 있다.
수술은 6개이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으며 씨방은 3실로서 둥글고 암술대는 뭉툭하다. ... 국립수목원
다시 만나는 참기생꽃 군락지
참당귀 ?
나도옥잠화(백합과 나도옥잠화속) 열매
애기나리속에서 죽대아재비속으로 이사했지만,
금강애기나리로 많이 불린다.
금강죽대아재비(백합과 죽대아재비속)
이젠 하산 하자~~~~
내려가는데 등로 안쪽에 부게꽃나무 꽃이 저 높이에서 보인다.
양쪽 종아리 근육 바짝 당겨 올려서 s25 울트라로 최대한 당겨 담는다.~~
부게꽃나무 https://gyeongyeon.tistory.com/entry/
나도개감채(백합과 개감채속)은 끝물이고~~~
유일사쉼터로 되돌아 내려가면서 내려 온 돌계단을 보니 급경사네.... ㅠ
유일사쉼터로 되돌아 내려와서 임도 따라 주차장으로 내려간다.
잎 밑부분이 심장형으로 되면서 줄기를 감싸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는
두메고들빼기(국화과 왕고들삐기속)이다.
모양이 비슷한 왕씀배는 줄기에 자주색 털이 있다는데....
자세히 딜다보니 털이 없고 매끄리하다 ㅎㅎ
내려가는 임도의 가장자리 숲에도 큰앵초가 군데군데 보인다.
아이구 참말로....
아까 저 위에서 짧은다리에다 최대한 까치발로 담았는데
내려오니 바로 눈높이에 꽃이 있다.
그것도 무리로~~~ㅎㅎㅎ
그래도 더 반갑다는~~~~
부게꽃나무(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
산겨릅나무?
좀딸기
회리바람꽃
감자난초(난초과 감자난초속)는 내려가면서 계속 만난다.
꿩의다리아재비(매자나무과 꿩의다리아재비속)
풍성하게 활짝 핀 부게꽃나무 꽃을 또 만난다.
감자난초
노루삼 열매
눈개승마(장미과 눈개승마속) 수꽃
눈개승마는 암수딴포기이다.
노란장대(십자화과 노란장대속)
함박꽃나무
꽃잎은 다 떨어지고 자방이 부풀기 시작했다.
꽃받침이 5개이고 사이가 벌어졌으니, 5수성의 회나무로 보인다.
국수나무가 한창이다
하산 완료하고 남아있는 오이도 먹고
장거리 운전 채비를 하고 경주로 15시 40분쯤에 출발한다.
티맵의 안내는 무료도로로 집도착이 19시20분이다.
티맵의 내비를 하면 당진고속도로를 경유할까 우려가 되어
네이버 길찾기에서 무료도로를 안내 받는다.
출발할 때는 집 도착이 18시시43분이더니 도착기간이 자꾸 늦어진다
울진 7번 국도에서 다시 티맵의 안내로 바꾸어 집으로~~~
집 도착 시간이 19시15분이네~~~
'산행 >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성 금강산] 마산봉 2025. 6. 12. (1) | 2025.06.13 |
---|---|
화암사 성인대 2025. 6. 10. (1) | 2025.06.13 |
계방산 (운두령-계방산-이승복생가) 2025. 2. 11. (0) | 2025.02.12 |
검룡소~대덕산 2024. 9. 11. (0) | 2024.09.12 |
설악산(소공원~울산바위~이구아나바위~미시령) 2024. 9. 8. (0) | 2024.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