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야생화(초본)1198 가지산에서 담은 원추리 2021. 7. 30. 흰비비추 (백합과 비비추속) 전국적으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천황산 정상을 지나 천황재로 내려가는 등로 따라 내려가는데 멀리서 순백의 꽃이 시야에 훅 들어온다. 오잉? 뭐지? 오메 !! 흰비비추 ~~ 산행을 하면서 흰비비추는 처음 대면은 한다. 2021. 7. 22. 천황산 2021. 7. 28. 매미꽃 (양귀비과 ) 영남알프스 천황산에서 매미꽃을 만나다~~~ 얼음골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서 천황산으로 갈때는 능선의 등로 진행하고 천황재에서 재약산 정상까지 갔다가 되돌아와서 천황재에서 임도를 따라 케이블카 상부 승강장 건물까지 진행을 했다. 승강장 건물로 올라가는 등로에 이 여름에 왠 피나물?.... 헐~~~ 꽃줄기가 지면에서 올라와 있다. 매미꽃이다. 꽃줄기가 줄기에서 나오면 피나물~~~ 그동안 산행을 하면서 매미꽃의 자생지는 남도였는데... 누가 일부러 심었을까.... 뜻밖에 만난 매미꽃과 눈인사를 나누고~~~ 2021. 7. 28. 알며느리밥풀 (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 알며느리밥풀 (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 높이 30~70cm 높이로 자라는 반기생 한해살이풀. 중앙부의 잎은 달걀모양 또는 좁은 달걀모양이며 길게 뾰족해지거나 갑자기 뾰족해지고 길이 3~6cm, 폭 1.5~3cm 로서 밑부분이 둥글며 갑자기 좁아져서 밑으로 흐르고 엽병은 골이 파지며 잎몸과 더불어 짧은 털이 다소 산생한다. 줄기는 능선을 따라 굽은 백색 털이 있고 가지가 퍼져서 위를 향한다. 꽃은 8~9월에 피고 홍자색 또는 백색이며 정생하는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포는 좁은 달걀모양 또는 달걀모양이며 다소 치밀하게 달리고 가장자리에 긴 가시털같은 톱니가 있다. 꽃받침은 잔털이 다소 있으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까락같은 끝으로 되며 꽃부리는 길이 16~18mm로서 입자상의 돌기가 있다. 2021. 7. 20. 가지산 2021. 7. 21. 가는잎쐐기풀 (쐐기풀과 쐐기풀속) 가는잎쐐기풀 (쐐기풀과 쐐기풀속) 전국 각지의 산지에서 자라는 높이 50~100cm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짙은 녹색이고 끝이 뾰족하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둥글며 양면에 털이 그다지 많지 않고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1~3cm 로서 짧은 털이 있거나 없으면 기부 양쪽의 탁엽은 4개로서 선형이다. 줄기는 가지가 다소 갈라지며 모여나기하고 둔하게 네모지며 자모가 있다. 꽃은 대개 일가화로서 7~8월에 피고 녹색이며 이삭꽃차례는 각 잎겨드랑이에서 2개씩 나온 꽃차례에는 암꽃, 밑부분에서 나온 꽃차례는 수꽃이 달린다. 수꽃은 화피열편과 수술이 각각 4개이다. 자화서는 액생하며 암꽃은 4개의 화피열편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수과는 납작한 달.. 2021. 7. 21. 털부처꽃 (부처꽃과 부처꽃속) 털부처꽃 ( 부처꽃과 부처꽃속) 전국에 분포하며 높이 1~1.5m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줄기는 곧게 서고, 온몸에 거친 털이 있어 털부처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습지에서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피침 모양으로 길이는 4~6cm, 폭은 0.8~1.5cm이다. 7~8월에 취산꽃차례로 붉은 자주색 꽃이 핀다. 열매는 삭과로서 달걀 모양이다. 2021. 6. 29. 순창 용궐산 산행... 장군목 내륭마을 앞 강가에서~~~ 2021. 7. 9. 자주풀솜나물 ? (국화과 ) 2021. 6. 27. 거제 망산 산행을 하면서 망산 정상으로 오르면서 정규탐방로를 버리고 암봉의 중간쯤에서 바위를 타고 정상으로 오르는데 암릉 바위 사이에 이 녀석이 보인다. 어떤 떡쑥일까 .... 했는데 검색으로 찾아보니 자주풀솜나물에 가까워서 일단 이름을 '자주풀솜나물' 로 올려 놓는다. 자주풀솜나물의 특징은 주걱형의 줄기 잎과 잎 가장자리의 오글거리는 물결형 잎이라고 한다. - '여왕벌이 사는 집' 블러그에서 참고로~~~ 이렇게 화서가 긴 개체도 이있었다. 2021. 6. 28. 대반하 (천남성과 반하속) 대반하 (천남성과 반하속) 거제도 상록수림 밑에서 자란다. 잎은 1~4장이고 잎자루에 살눈이 없다. 잎몸은 깊게 3갈래로 갈라지고 갈래는 달걀모양 또는 좁은 난형으로 길이 10~20cm이다. 꽃 꽃대는 20~50cm, 불염포는 녹색 또는 자색을 띤 녹색이다. 길이는 6~10cm으로 판연은 난형이다. 내면에 소돌기가 밀생하고 외부는 매끈하다. 부속체는 길이 15~25mm이다. - 국립공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옮김 2021. 6. 27. 거제 망산 산행중에~~ 반하 https://blog.daum.net/kyungryun/451#none 2021. 6. 28. 좀가지풀 (앵초과 까치수염속) 좀가지풀 (앵초과 수염까치속) 2021. 6. 27. 거제 근포동굴 앞에서~~ 이 개체는 곱게 단풍이 들었다. 열매 모양 2021. 6. 28. 둥근배암차즈기 (꿀풀과) 둥근배암차즈기 (꿀풀과 배암차즈기속) 습기가 많으면서도 반 그늘지고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우리나라 남부의 산지에 분포한다. 꽃이 마치 뱀이 입을 벌리고 있는 것처럼 보여 붙여진 명칭이다. 둥근배암차즈기는 기본종인 배암차즈기에 비해 키가 큰 편이며, 작은잎이 넓은 달걀, 마름모, 넓은 바소꼴의 마름모 모양을 이룬다. 6~8월에 원줄기 끝에 층층으로 연한 자주색 꽃이 달린다. 꽃부리에는 긴 털이 있으며 아래 꽃잎이 가장 넓고 수술2개는 밖으로 나온다. 9~0월경에 꽃받침 안에 길이 약 0.2cm의 둥근 열매가 달린다. 2021. 6. 27. 거제 망산 산행 중에 만난 꽃이다. 2021. 6. 28. 옥잠난초 (난초과) 옥잠난초 (난초과) 높이 20~30cm 정도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2021. 6. 19. 경주 남산 2021. 6. 24. 산솜다리 (국화과) 산솜다리 (국화과) 한국의 설악산 고산재에서 자란다. 높이 7~22cm이다. 여러 대가 같이 나오고 자줏빛을 띠며 솜털로 덮인다.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핀 뒤에도 남아 있고, 중아앙부의 잎은 넓은 선형 또는 거꿀피침형이며 둔한 끝에 뾰족한 돌기가 있고 밑부분이 원줄기에 붙어 있으며 짧은 털이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거꿀피침형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표면에 면모가 다소 있고 뒷면에 회백색 털이 밀생한다. 꽃은 연한 노란색으로 피고 두상화이며, 가지가 없고 6~9개가 줄기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린다. 포는 6~9개이고 둥근 모양이며 길이 5~15mm로서 잎처럼 잿빛을 띤 흰색털이 빽빽이 난다. 포조각은 3줄로 늘어선다. 열매는 수과로서 긴 타월현이며 짧은 털이 난다. 관모는 흰색이다. 한국특산.. 2021. 6. 14. 이전 1 ··· 4 5 6 7 8 9 10 ··· 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