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야생화(초본)1199 금강봄맞이 (앵초과) 금강봄맞이 )앵초과) 한국 설악산, 금강산에 분포 산지의 응달, 암벽에서 8cm정도의 높이로 자란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 나오고 둥근 신장형이며, 7~11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중앙까지 3개로 갈라지기도 하며 톱니가 있거나 또는 밋밋하다. 표면은 녹색, 뒷면은 연하거나 흰빛이 돈다. 꽃은 6월에 백색으로 피고, 길이 7~12cm이다. 꽃줄기는 끝에 7~11개가 달린 1개의 산형꽃차례로 된다. 꽃받침은 퉁 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백색이고 수술은 대가 거의 없으며 꽃잎과 마주붙고 꽃밥은 황색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둥글고 꽃받침보다 약간 짧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2021. 6. 13. 설악산 공룡능선에서~ 2021. 6. 14. 꼭지연잎꿩의다리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꼭지연잎꿩의다리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한국의 설악산 이북에 20cm 정도의 높이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꼭지(열매자루)가 있고 연잎꿩의다리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줄기는 20cm로서 털이 없고 곧게 선다 잎은 엽병이 길고 1~2회 3출엽으로 작은잎자루가 있으며, 소엽은 둥글고 작은잎자루가 밑에서부터 1/4정도 올라가서 달리므로 방패같고 밑에서부터 1/3정도의 가장자리에 둥근 치아모양의 톱니가 있고 길이가 3cm를 넘지 않으며 뒷면이 분백색이다. 꽃은 6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원줄기 끝에서 발달하는 작은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5~20mm로서 가늘고 꽃받침조각은 4~5개이거 타원형이며, 일찍 떨어지며 연한 자백색이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위쪽이 꽃밥보다 넓게 부풀며, 아래쪽은 실.. 2021. 6. 14. 눈개승마 수꽃, 암꽃(장미과) 2021. 6. 13. 설악산 공룡능선에서~ 수꽃 암꽃 2021. 6. 14. 난장이붓꽃 (붓꽃과) 난장이붓꽃 (붓꽃과) 2021. 6. 6. 북설악 신선봉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강원 이북의 높은 지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은 높은 산 정상부근의 건조하고 배수성이 좋은 사질토양에서 주로 자란다. 햇볕이 잘 들고 메마른 바위곁이나 틈새에 붙어 있다. 지상부의 높이는 5.0~11.0cm로 근경은 기며 갈색이고, 수염뿌리는 암갈색이다. 꽃대는 길이 3.8~8.3cm, 너비 0.1~0.2cm로 가지는 치지 않으며 끝에 3개의 포가 1개의 꽃을 감싸는 단정화서로 줄기잎은 없다. 다른 붓꽃과 식물에 비해 잎이 매우 가늘고 짧다. 붓꽃에 비해 키가 상대적으로 더 작으나 꽃은 크고 아름답다. 5월에 연한 보라색꽃이 5cm 정도의 화경 끝에 1개 달린다. 외화피에는 하얀 반점이 있다.. 2021. 6. 8. 연영초 (백합과) 연영초 (백합과) 주변습도가 높거나 개울가 반그늘 혹은 음지의 부엽질이 풍부한 곳에 서식하고 20~30cm 높이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3엽윤생, 광난형,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측맥은 3~5개이고 엽병은 없다. 꽃은 5~6월 백색으로 개화, 꽃받침 3개 꽃잎 3개 암술대 3개 이고 수술은 6개이다. 2022. 5. 26. 소백산 (비로봉~천동) 2021. 5. 29. 소백산 (늦은맥이재~비로봉) 2021. 5. 30. 나래완두 (콩과 나비나물속) 2020년 4월 30일 광양 백운산~따리봉~도솔봉을 산행하면서 담았는데 덩굴손이 없다는 것만으로 광릉갈퀴로 이름표를 달았었다. 덩굴손이 없는 것은 같으나 꽃차례가 다르다 나래완두는 잎맥에 2~5개의 꽃이 달린다. 나래완두 (콩과 나비나물속) 우리 나라 남부지역에 분포하고 들과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 높이가 40cm에 달하며 줄기에 능선이 있고 다소 곧추서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3-5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 우상복엽이고 덩굴손이 없다. 소엽은 난상 타원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끝에 덩굴손이 없다. 탁엽은 난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꽃자루보다 길며 녹색이다. 꽃은 5월에 피며 길이 15mm로서 자주색이고 잎맥에 2~5개의 꽃이 달려 총상.. 2021. 5. 26. 자란초 (꿀풀과 조개나물속) 자란초 (꿀풀과 조개나물속) 전국의 해발 500m 이상 되는 곳에 분포한다. 50cm 정도 높이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잎은 마주나기하고 밑부분의 것은 적으며 위로 갈수록 커지고 넓은 타원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잎 표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와 털이 나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흐른다. 꽃은 자주색이고 줄기끝 또는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밀착되어 달린다. 2021. 5. 21. 은대난초 (난초과 은대나초속) 은대난초 (난초과 은대난초속) 전국의 산지에서 반그늘 혹은 양지의 물 빠짐이 좋은 풀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은대난초는 은난초와 비슷하나 포기 전체에 털 같은 돌기가 나고, 밑의 포가 꽃차례보다 긴 것이 은난초와의 차이점이다. 거가 있고 꽃잎이 활짝 펴지지 않는다 2021. 5. 19. 토함산 묘지 옆에 있는 은대난초가 꽃잎이 많이 벌어져 피었다. 2021. 5. 21. 비짜루 (백합과 비짜루속) 비짜루 (백합과 미짜루속)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높이 50~100cm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단성화, 암수딴그루~ 잎은 잔가지의 것은 막질이고 큰가지나 원줄기에는 밑을 향한 가시처럼 되고, 잎모양의 잔가지가 3~7개씩 한군데 뭉쳐서 달리며 좁은 선형이고 편평하며 한쪽에 능선이 있어 삼각형으로 비스듬히 굽은 잎은 1~2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끝이 무성하다. 줄기는 50~100cm이며 원줄기는 둥글고 능선이 있으며 윗쪽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2~6개의 꽃이 모여 달리고 2.5 ~ 3mm 이며 넓은 종형이고 연한 녹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1~2mm로서 끝에 관절이 있으며 수술은 6개로서 암꽃에도 작은 것이 있다. 꽃밥은 심장형이고 수술대보다 짧다. 2021.. 2021. 5. 21. 애기송이풀 씨방 애기송이풀(현삼과 애기송이풀속) 애기송이풀은 광합성으로 영양분을 만들면서 다른 식물에서 영양분과 수분을 얻기도 하는 반기생식물이다. 열매는 삭과로 10월에 익는다. 2021. 5. 9. 2021. 5. 19. 2021. 5. 10. 가는잎잔대?, 잔대 가는잎잔대? 잔대 2020. 10. 3. 며느리배꼽 며느리배꼽 (마디풀과) 길가나 빈터에서 흔히 자라는 덩굴지는 한해살이풀. 2m 정도 길이로 벋는 줄기에 갈고리 같은 잔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붙는다. 줄기에 어긋나는 세모꼴 잎은 잎자루가 잎몸 안쪽으로 다소 올라 붙는다. 잎자루에도 갈고리 가시가 있고 잎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잎자루 밑 부분의 커다란 턱잎은 나팔처럼 퍼진다. 7~9월에 가지 끝에 연녹색 꽃이 모여 피며 둥근 열매는 남색으로 변했다가 검은색으로 익는다. 2020. 10. 3. 이전 1 ··· 5 6 7 8 9 10 11 ··· 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