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야생화 (목본)

금식나무

by 바람- 2012. 4. 15.

         금식나무 (식나무과)

        

        경북(울릉도), 전남, 제주도의 산지 숲속 분포 .

        가지가 굵고 족색이며 잎에 황색의 반점이 있는 나무를  '금식나무' 라고 부르며

        남부 지역에서 조경용으로 식재하고 있다.  

 

 

 

        암수딴그루(간혹 암수한그루)이며 3~4월에 2년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자갈색 꽃이 풍성하게 달린다(특히 수꽃차례).

         꽃은 지름 1cm 정도이며 꽃잎은 4개이고 장타원상 난형이다.

 

 

 

 

        어린 가지는 녹색을 띠며 광택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8~25mm의 장타원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이고, 가지 끝에 모여 달린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넓은 쐐기형이며, 가장자리 상반부에는 성글게 톱니가 있다.

        수술은 길이 1~1.25mm 이며, 자방은 타원형이고 털이 약간 있다.

 

 

 

 

 

 

 

         식나무       http://blog.daum.net/kyungryun/1978

 

'야생화 > 야생화 (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자순  (0) 2012.04.16
삼지닥나무  (0) 2012.04.16
키버들  (0) 2012.03.31
황근  (0) 2012.03.02
까마귀쪽나무  (0) 2012.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