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314 보현산 꽃님 만나러 ~ 2020. 5. 8. 얼라 둘을 15시30분쯤에 하원시켜 19시까지 돌봄을 해서 늦어도 15시 까지 보현산을 갔다올려면 조금 빠듯한 시간이다. 금강죽대아재비도 보고싶고 나도바람꽃은 끝물이지만 그래도 보고싶고 보현개별꽃은 궁금증을 풀어야겠고.... 07시50분에 집을 나선다. 드립으로 내린 커피는 보온병에, 사과2개와 배낭에 넣고 집앞 편의점에서 샌드위치와 생수1병도 사고.... 보현산천문대주차장으로 네비를 찍고 보현산으로 달린다. 삿갓나물(백합과) 슬픈 전설을 가진 삿갓나물은 우리나라 전역의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이 돋아난 모양이 꼭 삿갓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자세히 보면 잎이 7개 정도 되고 꽃줄기가 하나 올라온다. 그래서 '칠엽일지화' 라고도 부른다. 여기에는 스른 전설이 전해진다. 옛날 어느 집에 일곱 .. 2020. 5. 9. 남산제일봉~매화산 2020. 5. 5. 왕관바위 공룡바위 남산제일봉~매화산 2020. 5. 5. 번개산행~~~ 청량사 주차장 - 청량동탐방지원센터 - 옛길 - 남산제이봉 능선 합류 - 남산제이봉 - 남산제일봉 - 국립공원감시초소 - 치인주차장 방향으로 내려가다가 감시초소를 크게 우회하여 매화산 능선 합류 - 미어켓바위 - 매화산 - 청량사주차장 5월 5일 햇님이 동그랗게 방긋 웃던 기상예보는 자꾸만 구름 그림이 들이댄다.오후3시경쯤에 1~4mm 정도의 비소식이 있지만 산행이 진행된다.청량사 매표소에는 직원이 없어 8명의 입장료를 벌었다.청량동탐방지원센터가 있는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먼저 청량사 경내를 관람한다. 청량사 기와 너머로 남산제이봉이 병풍처럼 펼쳐저 있다. 청량동탐방지원센터를.. 2020. 5. 6. 설앵초 설앵초 쌍떡잎식물 앵초목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설앵초는 고산지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줄기는 곧게 서고 15cm 정도이다. 잎은 뿌리에서 돋아서 비스듬히 퍼지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갑자기 좁아져서 잎자루의 날개가 된다.또는 가장자리는 뒤로 말리는 것도 있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뒷면이황색가루로덮인다. 꽃은 엷은 자주색으로 5~6월에 피고 뿌리에서 자란 긴 꽃줄기 끝에우산 모양으로 달린다. 작은꽃줄기는 꽃이 필 때는 길이 1.5cm 정도로 털이 없고 꽃이 진 다음 다시 자란다.포는 성형이고 꽃받침통은중앙까지 5개로 갈라진다.수술은 5개, 암술 1개이다화관은 홍자색이고 지르 10~14mm로서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며끝이 파진다. 열매는 8월에 결실하며 삭과로 원주형이며 5개로 갈라진다.한국, .. 2020. 5. 3. 매미꽃과 피나물 매미꽃 2020. 4. 30. 광양 백운산 피나물 2020. 5. 1. 간월재 2020. 5. 3. 숙은처녀치마 숙은처녀치마 외떡잎식물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강원도, 전라북도, 경사도 등지의 높은 산에서 서식한다. 꽃차례가 수그려지고 처녀치마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나,처녀치마와 별다른 모습은 아니다.'좁은잎처녀치마'라고 불리기도 했다상록성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8~20cm이다.잎은 뿌리에서 여러 개가 모여나기하고 땅 위에 방석처럼 펼쳐지며, 피침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겨울에도 남아 있다.끝이 뾰족하고 가장리는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없다.길이는 4~18cm, 폭은 0.5~3cm이다. 꽃은 4~5월에 잎 사이에서 자라 난 꽃줄기 끝에 보라색으로 피며,3~10개가 두상꽃차례처럼 보이는 총상꽃차례를 이룬다.화피조각은 6개이다. 수술도 6개이고 화피보다 길다.암술대는 수술보다 길고 암술머리에 3개의 돌기가 있다.꽃이.. 2020. 5. 3. 흰괭이눈(흰괭이눈) 흰괭이눈(흰털괭이눈)장미목>범의귀과>괭이눈속 높이 3~9cm 정도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2020. 5. 1. 간월재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둥글거나 선형이고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다소 절저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표면은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으며 뒷면은 털이 없고 ,엽신은 길이 1~2.3cm, 폭 0.8~2cm이다. 꽃은 4~6월에 피고 줄기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려 모여나기하며,꽃받침조각은 4개이고 넓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둥글며 곧게 서고 길이 2.5cm, 폭2mm이며황록색이다.수술은 8개이고 그 중 4개는 꽃받침밑에 분어 있으며 수술대는 꽃받침 길이의 1/2정도이고꽃밥은 황색이며 둥글다.암술대는 매우 짧으며 2개이고 끝이 바깥쪽으로 젖혀져 있다. 뿌리에서 옆으.. 2020. 5. 3. 신불산 ~ 간월재 2020. 5. 1. 신불산 공룡능선 숙은처녀치마 4월30일부터 5월3일까지 4일간 휴가다.30일 어제는 광양 백운산 산행을 했고 , 남은 3일 중 3일날 일욜은 비소식이다.그래서 2일은 텃밭에 채소 모종을 심어야겠고...시기가 좀 이를수도 있지만 영알에 자생하는 설앵초와 숙은처녀치마를 보러 간다.어제 산행의 후유도 있고하여 짧은 코스로 생각~간월산장에서 원점회귀를 잡고, 또 신불공룡도 타고 싶고~~간월재로 올라 영축산까지 가서 하산을 하면 딱인데.... 숙은처녀치마는 회포를 풀었는데설앵초는 꽃이 핀 모습을 못봐서 많이 아쉽다...... 간월산장 앞 주차장에 주차하고 산행 시작을 하면서 간월산장도 담아보고~~~ 인공암벽장도 담아보고~~~ 산행초입에서~~~ 거북바위 연초록의 색깔에 눈이 시원해진다. .. 2020. 5. 2. 광양 백운산 (진틀-백운산-따리봉-도솔봉) 2020. 4. 30. 백운산 상봉 광양 백운산 1217m 2020. 4. 30. 진틀 - 백운산 - 신선대 - 한재 - 따리봉 - 참새미재 - 도솔봉 - 빽 - 참새미재 - 논실 백운산은 한반도 남단 중앙부에 우뚝 솟은 백운산(1222.2m)은 봉황, 돼지, 여우의 세 가지 신령한 기운을 간직한 산이라고 한다.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와 호남정맥을 완성하고 섬진강 550리 물길을 마무리해 준다. 또한 900여종이 넘는 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보고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섬진강을 사이에 두고 지리산과 남북으로 마주하고 있다. 웅장한 지리산과 그림처럼 펼쳐진 한려수도를 한눈에 바라보며 산행을 할 수 있는 것이 백운산의 매력이다. 등산로 또한 순탄한 편이라서 누구나 쉽게 오를 수 있다. 산 중턱에는 서울대학교의 연습림이 울창한.. 2020. 5. 2. 토함산 (백년찻집-토함산-시부걸) 2020. 4. 28. 토함산 745m 2020. 4. 28. 홀로산행 백년찻집 ~ 토함산 ~ 시부거리갈림길 ~ 시부거리 (시부거리에서 백년찻집으로 대중교통(버스) 이용) 아침 08시에 톡 받고 갑자기 생긴 시간...영알의 설앵초와 숙은처녀치마를 보러 갈려다가 아직은 시기가 이른 것 같아토함산 백년찻집에서 시부거리로 하산하는 코스를 정하고 시부거리에서 백년찻집으로이동하는 대중교통을 검색~100번 100-1번 150번 150-1번의 버스가 거의 30분 간격으로 다녔다.시부거리에서 굳이 버스 시간에 맞춰서 하산하지 않아도 된다.내려와서 30분 정도는 기다리면 될 것이고....아니면 시부거리에 주차를 하고 버스를 먼저 이용해도 될 것이고....참고로 시부거리에서 다음 정차는 황용이고, 그 다음이 추원이다.백년찻집으.. 2020. 4. 29. 산둥굴레 ? 산둥굴레 백합목>백합과>둥굴레속 전국 각처의 산지에 자란다.30~60cm 넢이에 잎이 대나무와 유사하다.어긋나기잎은 한쪽으로 치우쳐서 퍼지며 긴 타원형이다.엽병이 없고 잎 뒷면에 유리조각 같은 돌기가 있다. 꽃은 5월에 피며 잎 겨드랑이에서 1~4개의 꽃자루에 달린다. 2018. 5. 4. 시부거리 2020. 4. 29. 목포용둥굴레 목포용둥굴레 백합목>백합과>둥굴레속 여러해살이풀. 1~3개의 포엽 속에 같은 수의 꽃이 달리는데,포엽이 꽃을 가릴 정도로 크고 넓으며, 화경이 아주 짧다. 2019. 5. 12. 흑산도 마산 적석산에서 담은 둥굴레속 녀석이다.목포용둥굴레 보다는 화경이 길다.안면용둥굴레일까? 2020. 4. 29. 월출산 향로봉 좌우능선 2020. 4. 26. 파노라마 파노라마 월출산 향로봉 좌우능선 2020. 4. 26. 월출산다원주차장 - 우능선 - 좌우합수점 - 향로봉 - 좌우합수점 - 좌능선 - 다원주차장 암릉의 최고는 단연 설악산이고 월출산의 암릉도 설악 못지 않다. 지난주 계획이었던 향로봉 산행을 날씨가 좋지않아 1주 미루어 26일 진행을 했다. 차량 이동시간만 편도 4시간 정도 소요되는 것도 있지만 향로봉은 비탐구간이라 **출근 전에 산속으로 파고 들어야 하기 때문에 03시30분 출발이다. 포항 이동사거리에서 출발이라 경주에서 7번 국도 도로를 달리는데 가끔씩 스치는 차량 불빛이 아직은 쌀쌀한 밤공기를 갈랐다가 사라진다. 8명의 일행들이 승합차에 모두 탑승하여 강진으로 고고~~~ 눈을 감고 짧은 시간이지만 잠을 자기는 한것 같은데 머리는 잠이 들지.. 2020. 4. 27.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