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야생화 (목본)513 댕댕이나무(인동과 인동속) 서락의 서부능선 산행공지에 얼른 신청 댓글을 달았다. 서락 산행을 하면서 늘 바라보기만 했던 안산~ 산행도 산행이거니와 안산 주변의 야생화를 만날 수 있음에 기대가 많이 앞섰다. 능선에 올라 풍광사진을 담는데 연노랑색 꽃이 눈에 보인다. 윽...... 너는 댕댕이나무 ! 이번 산행에서 꼭 보고싶다는 간절함이 이루어지는 순간에 심장이 바온스바온스~~~ 제주도 한라산 및 강원도 설악산 이북의 높은 산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주로 해발 700~2,300m의 고산지대에 자생한다. 덤불모양으로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잔가지에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나와 그 끝에 2개씩 달리며,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꽃대와 포는 털이 있고, 작은포는 동합하여 꽃받.. 2023. 5. 18. 상산 (운향과 상산속) 상산(운향과 상산속) 2023. 4. 4. 덕룡산 주작산 산행에서~~ 소석문에서 산행 시작하여 덕룡산 동봉 서봉을 지나 주작산으로 진행하는데 초록의 새잎속에서 낯익은 열매가 눈에 들어온다. 오잉... 상산나무 열매~ 상산은 암수딴그루이고.... 혹시 꽃이 핀 녀석이 있나 찾아봐도 열매가 달린 나무에 암꽃봉오리가 이제 막 달리기 시작한다. 열매를 담고 돌아서는데 상산나무 수꽃이 막 피기 시작한다. 암꽃은 1개씩 달리며, 암술머리가 4개이다. 열매 수꽃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꽃받침조각 꽃잎 및 수술은 각 4개씩이다. 2023. 4. 5. 길마가지나무(인동과 인동속) 2023. 4. 4. 덕룡산 동봉 서봉을 지나고 주작산475봉으로 진행하는데 새가지가 붉은인동을 닮았다. 엥... 왜 여기에 붉은인동이... 묵은가지 사이로 꽃이 보인다. 길마가지나무 꽃이네~~ㅎㅎ 길마가지는 인동과..... 그래서 순간 붉은인동으로 착각을~~~ㅎ 2023. 3. 21. 여수 성두리 갯가 해안의 해벽 트레킹을 하고 금오산으로 치고 오르는데 꽃향이 오름길 숲속에 그윽하다. 무슨 꽃향? 아~~~ 옐로우 슈즈를 신은 발레리나들이 한창 공연중이다. 꽃쟁이들은 올괴불나무 꽃을 '레드슈즈 발레리나' 길마가지나무 꽃을 '옐로우 슈즈 발레리나' 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일행들은 앞서 가버리고 보이지 않는데 이 녀석들의 꽃향에서 좀 더 머물렀다 어린 가지에 거친 털이 있고, 잎은 마주난다. 꽃은 3~4월에.. 2023. 3. 23. 의림사 골짝에.... 2023. 3. 11. 삼지닥나무(팥꽃나무과 삼지닥나무속) 갯버들(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꿩의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산자고(백합과 산자고속) 열레지(백합과 얼레지속) 노루귀(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 2023. 3. 12. 개버무리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개버무리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낙엽 덩굴나무이다. 잎은 마주나며, 2회3장씩 갈라지는 겹잎이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어린 가지에 털이 조금 난다. 꽃은 8~9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3~6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연한 노란색이다. 꽃받침잎은 4장, 꽃잎처럼 보인다. 열매는 수과이며,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10~11월에 익는다. 국내에 분포하는 으아리속 식물들에 비해서 꽃이 노란색이므로 구분된다. 2021. 9. 2. 2022. 9. 12. 2022. 9. 15. 누리장나무 (마편초과 누리장나무속) 누리장나무 (마편초과 누리장나무속) 산기슭이나 골짜기의 기름진 땅에 서식하며, 크기는 약 2~5m이다. 식물체에서 누릿한 냄새가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산행 중에 누리장나무의 냄새를 처음 맡을 때는 살짝 비위에 거슬리지만, 끝에 남은 냄새는 약간 고소함이 느껴졌다. 누리장나무는 암술과 수술이 피는 시기를 달리한다. 처음 꽃이 필 때는 수술4개가 앞으로 쭉 뻗어 꽃가루를 곤충에 묻혀서 보내기 위한 수꽃시기이다. 1~2일이 지나면 역활을 마친 수술은 말리며서 아래로 처진다. 다음은 아래에 처져 있던 암술이 앞쪽으로 쭉 뻗어 꽃가루를 받는 시기인 암꽃 시기가 된다. 수정이 되고 나면 다섯 개의 꽃받침조각의 붉은 빛깔과 안쪽에 맺힌 진자색의 열매가 달린다. 다나카 하지메의 책속에 있는 내용중 일부분 옮김.. 2022. 8. 14. 미역줄나무 열매 2022. 7. 11. 얇은잎고광나무(범의귀과 고광나무속) 얇은잎고광나무9범의귀과 고광나무속) 암술대와 화탁에 털이 없다. 2022. 6. 22. 2022. 6. 26. 각시괴불나무(인동과 인동속) 각시괴불나무(인동과 인동속) 잎은 거꿀달걀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톱니가 없고 표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가장자리와 뒷면 맥위에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액생하고 화경은 털과 선점이 있으며 포는 씨방보다 길거나 같고 작은포과 더불어 선점이 있다. 꽃받침은 톱니처럼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고 꽃부리는 연한 황색 또는 백색에서 황색으로 변한다. 수술과 암술대에 털이 있으며 씨방은 긴달걀모양으로서 선점이 있다. 열매는 장과로 난상 원형이고 8~9월에 붉게 익고 합생하지 않는다. 2022. 6. 22. 일월산 열매 2022. 6. 26. 아구장나무 (장미과 조팝나무속) 아구장나무(장미과 조팝나무속)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으로 첨두 또는 예저이고, 상반부에 톱니가 있고 간혹 3갈래로 갈라지는 것도 있으며, 뒷면은 황갈색 털이 많이 있거나 없기도 하다.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며, 양성화로서 새가지 끝에 15~20개가 우상모양꽃차례에 달리며 꽃차례에 털이 없고 수술의 길이는 꽃부리와 비슷하다. 열매는 4~5개의 씨방으로 되어 있는 골돌로서, 복봉선을 따라 털이 간혹 있고 끝에 돌기가 있으며, 9~10월에 성숙한다. 높이가 2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는 회갈색 또는 황갈색이고 일년생가지에는 털이 있다. 2022. 5. 26. 소백산 2022. 5. 29. 당조팝나무 (장미과 조팝나무속) 당조팝나무(장미과 조팝나무속) 잎은 어긋나기하면 달걀형에서 긴 타원형으로 끝은 둔하고 밑은 둥글거나 넓은 주걱형이며 두껍고 양면에 주름이 많다. 뒷면에 연모가 약간 밀생하고 중부 이상에 결각상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4-11mm이다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새 가지 끝에 우상모양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삼각형, 꽃잎은 5개로 달걀모양, 수술 20개 꿀샘은 10개이다. 줄기는 모여나기하고 일년생가지는 갈색으로 짧은 털이 밀생하고, 뒤에 나무껍질은 세로로 갈라져 떨어진다. 열매는 골돌로 가을에 성숙한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2022. 5. 22. 가야산 산행 중에~~ 2022. 5. 25. 가야산 산행 중에 담은 열매들 6년만에 다시찾은 가야산 ~ 만물상 ~ 정상 ~ 용기골 코스 산행 중에 만난 열매들~~ 참빗살나무(노박덩굴과) 수술이 짧고 상대적으로 암술이 더 길어 보이는 참빗살나무 장주화~ 장주화 그리고 단주화는 모두 열매를 맺는 양성화이다. 매발톱나무(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 열매가 살짝 길쭉한 타원형이니 매발톱나무 열매이다. 비슷한 매자나무 열매는 구형 또는 난상 원형이다. 신나무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 신나무 열매는 시과로, 날개가 거의 평행하거나 서로 합쳐진다. 2022. 5. 25. 이전 1 2 3 4 5 ··· 43 다음